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13

제129회 기술사 기출문제에서 찾아보는 항공기체기술사 문제 지난 2월 4일 토요일에 진행된제129회 기술사 54 종목의 필기시험 기출문제에서항공기체기술사와 연관하여그대로 옮겨놓아도 될만한 문제와생각해 볼 만한 문제를 정리해 봤습니다.# 건설기계기술사1교시 1번 공압시스템의 장단점을 유압시스템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누설 허용, 귀환회로 없다, 충전 필요, 압축성)1교시 10번 동점성계수(Kinematic Viscosity Coefficient)에 대하여 정의하고 단위를 쓰시오.(레이놀즈수 계산에 나오는 동점성 계수)# 건축전기설비기술사3교시 5번 전자파 적합성(EMC) 시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항공기체 128회 1교시 9번 EMI, EMC 의미 설명)# 금속가공기술사3교시 2번 복합화력 발전설비 및 항공기 고온 터빈 블레이드(turbine blade)에 사용하.. 2023. 2. 14.
항공기체기술사 in chatGPT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있는인공지능 채팅 프로그램에항공기체기술사에 대해 물어봤습니다.성별과 나이에 상관없이 객관적으로 답변을 해준다고 하는 기준대로원론적인 답변을 해주고 있습니다.교재, 문제풀이, 강의, 업무경험 등어떻게 기술사를 공부/준비해야 할지방향성을 보여주고 있으며,어느 하나도 무시하지 못할중요한 부분을 집어주고 있습니다. 2023. 2. 7.
KF-21 시제통산 100소티 시제 3호기까지 비행시험이 진행되며시제 1호기 70여 소티시제 2호기 20여 소티시제 3호기 최초비행 등어느덧 비행시험이 총 100 소티에 도달하였습니다.최근에는 스피드브레이크를 사용하였고,-1g 기동 (inverted maneuver) 시험도 진행되었습니다.배면비행이라고도 하는 이 기동은 하중관점에서는 문제없지만, 비행제어나 엔진 및 연료계통그리고 관련된 유압/전기 계통의 설계 검증을 위한 시험으로 진행됩니다.신생아의 100일을 기념하듯이,100번째 비행에 이어 1000번째 비행을 넘어,개발비행시험이 끝나는 날까지사고 없는 비행시험이 진행되기 바랍니다. 2023. 1. 31.
한국형전투기, 초음속 비행 성공 https://naver.me/Ggu5ZpES 한국형전투기 KF-21, 첫 초음속 비행 성공…기체 안정성 확인첫 국산 초음속 전투기 KF-21 ‘보라매’ 시제1호기가 17일 첫 초음속 비행에 성공했다. 지난 해 7월 시제1호기의 초도 비행 성공 이후 6개월 만이다. 이날 방위사업청에 따르면 이동규 한국항공우n.news.naver.comhttps://youtu.be/QyO2vGduk-g비행시제 1호기는 flutter 기체라서그렇게 큰 기동은 안 하지만,비행시험이 진행되는 속도, 고도 영역을하중시험용 비행시제보다 먼저 가보는 기체라준비가 많았습니다.하중, 유압, 전기, 착륙장치, 열해석, 비행제어, 동특성, snc, 민관군 협조 등연말부터 준비했는데,진짜로 갔네요.M1.05, 40kft시간 날 때, iads.. 2023. 1.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