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13

비행시험영역 확장순서 비행안전과 자료분석을 위하여 순차적인 접근방법 적용1) 고고도에서 저고도같은 고도에서는 낮은 속도에서 높은 속도 순서2) 저속에서 고속으로같은 속도에서는 낮은 동압에서 높은 동압 순서플러터 미발생 구역아음속중고도/고고도 & 고속저고도 & 고속운용영역 이내 고속운용영역 초과 고속의 순서로 속도 및 고도 영역을 확장합니다. 2022. 2. 15.
비행시험 과목 1) 플러터: 수평비행 중 각 조종면에 강제 진동을 부가(excitation)하여 플러터 현상의 발생여부를 확인하는 시험2) 하중: 항공기 구조물에 장착된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ge)로 기동 중 항공기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시험3) 진동 및 소음: 항공기의 진동 및 소음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으로 항공기의 각 부분별로 장착된 가속도계 및 조종석 내부에 장착된 소음센서를 통해 데이터를 획득하여 분석함4) 조종안정성: 항공기 3축에 대한 조종안정성을 검증하기 위한 시험으로 PA(Power Approach), PB(Power Approach with Speed Brake), UA(Up and Away), UB(Up and Away with Speed Brake)의 형상에 대해 다양한 기동을.. 2022. 2. 8.
비행하중보정시험 ACT, Airload Calibration Test# 요약1) 시험체에 보정용 시험하중을 부가2) 시험 하중 측정 센서에서 부가하중 및 데이터획득시스템에서 출력전압을 측정3) 선형 다변수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관계식 계산4) 하중비행시험용 항공기에 관계식 저장 후 비행시험에 활용# 시험대상하중비행시험 시제기# 목적비행시험을 통하여 하중해석 결과의 타당성 확인# 하중크기설계하중의 80%를 시험하중의 100%로 간주하고, 하중보정시험 수행# 주의사항실제 비행시험에 투입될 항공기에 직접 힘을 가하는 시험이므로, 시험하중이 설계하중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2022. 1. 25.
제한하중과 극한하중 제한하중은 항공기가 운용 중에 경험할 수 있는 최대 하중으로, 제한하중까지는 구조물은 영구변형이나 유해한 변형이 일어나서는 안 됩니다. 즉, 정상적인 방법으로 운용, 정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하중 그리고 온도에 의한 변형이 아래 사항을 유발해서는 안 됩니다.- 항공기 구성품의 기계적인 작동을 방해하거나 기능 저하- 조종 계통파트와 구조물 사이의 접촉이나 간섭- 조종면과 인접 구조물 사이의 접촉이나 간섭- 비행성능 요구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할 정도의 항공기 공력 특성 변화- 부품, 구성품, 조립품의 수리 또는 교환 필요- 정비가 필요할 정도의 변형, 좌굴, 항복 발생극한하중은 제한하중에 해석오류, 재료 물성치의 저하 가능성, 제작 공차 등을 고려하여 안전계수를 적용한 하중으로, 극한하중까지는 구조물의 균열.. 2022. 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