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13 V-n 선도 x축에 항공기의 속도, y축에 하중 배수를 직교 좌표축으로 하여 항공기의 속도에 대한 하중 배수를 나타냄으로써 항공기의 안전한 비행 범위를 정해 주는 선도입니다.목적1. 항공기 제작자에게, 항공기에 어느 정도 작용하는 하중에 대하여 구조상 안전하게 설계/제작해야 하는지 알려줍니다.2. 항공기 사용자에게, 항공기가 구조상 안전하게 운항하기 위한 비행 범위를 알려줍니다.# 설계제한하중배수곡예기(Acrobatic) pos +6.0, neg -0.5*pos운용기(Utility) pos +4.4, neg -0.4*pos보통기(Normal) 2.5 수송기(Transport) pos>= 2.5, neg -1.0# 설계운용속도 VA항공기가 수평비행 중 조종간을 당겨서 최대 양력 계수가 되었을 때, 하중배수가 그 항공기.. 2022. 5. 10. 리벳의 머리모양 및 사용처, 재질기호 [머리모양에 의한 분류]# 둥근 머리리벳공기저항이 크기 때문에 항공기 외부에는 사용하지 못하고, 강도를 요구하는 항공기 내부 구조물 결합에 사용합니다.# 납작 머리리벳최대강도를 요구하는 내부구조에 사용되며, 큰 강도나 인장하중에 견딜 수 있습니다.# 접시머리리벳머리각도가 90도, 78도 100도 등이 있으며, 이중 100도 형이 많이 쓰입니다. 머리 돌출이 없어 공기저항력이 작기 때문에 항공기 외피에 사용합니다.# 납작 둥근 머리리벳머리의 직경이 큰 대신 머리의 높이가 낮아 둥근 머리리벳에 비하여 표면이 매끈하여 공기저항이 작고, 머리 면적이 커 면압이 넓게 분포되므로, 얇은 판재 연결에 좋습니다.# 유니버설리벳머리 부분의 강도가 강하여 항공기 내외 결합용으로 사용합니다. [재질에 의한 분류]# A (.. 2022. 5. 3. 에어포일 비행기의 날개를 수직으로 자른 유선형의 단면으로, 날개골이라고도 합니다.앞전: 날개골 앞부분의 끝뒷전: 날개골 뒷부분의 끝시위: 앞전과 뒷전을 연결하는 직선두께: 윗면과 아랫면 사이의 수직거리평균캠버선: 두께의 이등분점을 연결한 선캠버 시위선에서 평균캠버선까지의 거리최대두께의 위치: 앞전에서부터 최대두께까지의 시위선상의 거리최대캠버의 위치: 앞전에서부터 최대캠버까지의 시위선상의 거리# NACA 24152 최대캠버가 시위길이의 2%4 최대캠버가 시위길이의 40%인 곳에 위치 (n/10)15 최대두께가 시위길이의 15%# NACA 230152 최대캠버가 시위길이의 2%3 최대캠버가 시위길이의 15%인 곳에 위치 (n/20)0 평균캠버선의 뒤쪽반이 직선인 경우 (1 곡선인 경우)15 최대두께가 시위길이의 15% 2022. 4. 26. 항공기 기술기준 Part 23.3 감항분류 23.3 비행기의 감항분류(a) 감항분류 보통(N)- 조종사 좌석을 제외한 좌석이 9인승 이하- 최대인가 이륙중량이 5,670kg(12,500lb) 이하- 곡예비행을 하지 않도록 설계된 비행기(b) 감항분류 실용(U)- 조종사 좌석을 제외한 좌석이 9인승 이하- 최대인가 이륙중량이 5,670kg(12,500lb) 이하- 제한된 곡기비행을 할 수 있게 설계된 비행기(c) 감항분류 곡기(A)- 조종사 좌석을 제외한 좌석이 9인승 이하- 최대인가 이륙중량이 5,670kg(12,500lb) 이하- 비행시험결과 제한이 필요하다고 입증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제한사항 없이 사용하도록 설계된 비행기(d) 감항분류 커뮤터(C)- 조종사 좌석을 제외한 좌석이 19인승 이하- 최대인가 이륙중량이 8,618kg(19,000lb.. 2022. 4. 19. 이전 1 ··· 30 31 32 33 34 35 36 ··· 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