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900 기초이론67

하중해석 좌표축 기체좌표축은 항공기의 거동을 해석하기 위하여 설정하는 기준방향으로,대표적인 기체축으로는 공력해석용과 구조해석용이 있습니다.(1) 공력항공기의 전진을 표현하는 관점에서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하여항공기의 진행방향으로 +X,오른쪽 주익방향으로 +Y,오른손 법칙에 의하여 항공기의 아랫방향이 +Z로 정의됩니다.(2) 구조항공기 진행으로 인한 항력의 관계에서기체의 후미방향으로 +X,양력이 발생되는 방향을 +Z,+Y축은 공력 해석용 좌표축과 같은 오른쪽 방향으로 잡습니다.받음각(angle of attack)이나 옆미끄럼각(sideslip angle)은 공력적인 관점이므로,공력좌표계를 기준으로 하여받음각은 nose up,옆미끄럼각은 nose right 방향이 +값으로 측정됩니다. 2021. 11. 23.
항공기 개발단계 개념설계 - 기본설계 - 상세설계 - 설계검증 - 운용단계(1) 개념설계설계요구조건 설정, 기본적인 형상과 치수 및 각 계통의 구성 설정, 대략적인 성능 도출, 기본설계를 수행할 대상 형상 결정 (2) 기본설계요구조건 정립, 기준형상에 대해 각 계통별로 세부적인 설계와 연구, 외형, 구조, 배치, 세부 계통 구성 개념 설정, 개념설계를 구체화하고 설계를 검증함 (3) 상세설계실제 제작에 필요한 상세 도면과 제작 공정 결정 (4) 설계검증부품 제작 및 조립 이후, 설계 목적에 맞는 시험을 통한 개발품의 적절성 평가 (5) 운용단계개발 단계를 넘어 실제 운용을 통하여, 요구조건의 달성도, 운용상의 개선사항 등을 평가 2021. 11. 16.
하중의 종류 하중은 구조물에 작용하는 외력입니다.하중의 발생배경에 따른 분류로는시간, 발생원인, 운용상태, 적용부위 및 구조건전성 평가기준이 있으며, 각각의 내용은 아래의 내용과 같습니다.(1) 시간- 정적하중: 시간에 대한 고려 없이 계산 가능한 하중이며, 일반적인 의미의 하중으로 쓰입니다.- 동적하중: 시간에 따른 구조물의 탄성반응을 고려하여야만 계산가능한 하중으로, 무장투하, 동적착륙, 돌풍, 조류충돌 등이 있습니다.(2) 발생원인- 공력하중: 항공기 주변의 공기 흐름 변화에 의하여 발생하는 하중으로, 양력과 항력이 있습니다.- 관성하중: 선형가속도, 각속도 및 각가속도에 의하여 구조물 질량에 발생하는 하중입니다.- 추력: 엔진의 추진력에 의해 작용하는 하중으로, 항공기 비행 방향으로 작용합니다.- 항력: 비행.. 2021. 11. 2.